[바이오타임즈] 우리나라는 정부주도 R&D에 있어 양적인 면에서 모범적이라 할만하다. 2019년 정부R&D 예산이 처음으로 20조원을 돌파했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은 1.13%로 세계 1위권이다. 이중 보건복지부 예산은 5,511억원으로 전체의 2.7% 비중이다. 복지부 예산의 대부분을 관리하는 곳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이하 '진흥원')이다. 해마다 75% 이상의 비중을 차지한다.
진흥원은 2015년부터 해마다 '보건의료R&D 우수성과 사례집'을 발간해왔다. 올해는 지난달 14일에 발간됐다. 사례집에는 30개의 성공사례와 함께 국내 보건의료R&D의 현황을 정리 제시했다.
바이오타임즈는 이번 취재를 통해 보건의료R&D의 현황을 조망하고 성공사례를 소개하여, 사례집의 편찬목적인 연구정보의 원활한 공유와 활용을 극대화하여 국내 보건의료 R&D 촉진에 보탬이 되고자 시리즈로 게재한다.
보건의료 R&D 예산 현황과 전략
보건의료기술(Health Technology)은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진단, 치료, 재활에 쓰이는 모든 기술 및 산업을 말한다. 이에 대한 사회적 수요증가에 따라 정부투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정부 전체 R&D 예산 대비 보건복지부 R&D 예산 비중은 평균 2.7% 수준(2013년~2018년)이며, 연평균 4%의 꾸준한 증가세다. 진흥원은 복지부 예산의 75% 가량을 집행하고 있다. 2019년 진흥원 예산은 4,670억원이다.
예산집행 계획의 지향점으로 작용될 기본 전략은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에 따른다. 이의 3대 전략은 ▲국민의 삶과 의료현장에 연결되는 R&D, ▲연구의 창의·융합을 뒷받침하는 R&D 지원시스템 구축, ▲R&D 성과의 가치창출 확대를 통한 미래성장동력 확보다.
9개 과제는 ➊ 고비용 사회문제 해결로 의료의 지속가능성 확보, ➋ 질환·계층·남북 간 건강 형평성 강화, ➌ 예방·관리 중심의 미래의료 기반 확충, ➍ 국민과 연구자 모두를 위한 연구자원 공유개방, 활용 강화, ➎ 연구정책 협력을 위한 촘촘한 네트워크, ➏ 혁신을 뒷받침하는 R&D 지원시스템, ➐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미래 신산업 육성, ➑ 연구개발 성과의 가치 성장 촉진, ➒ 기술-규제 간 소통확대 및 국제 기준과의 조화다.
보건의료기술 R&D 주요 성과
주요성과를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인프라 성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과학적 성과로는 논문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IF)를 든다. 2018년도 SCI논문 실적 평균 IF는 4.27점으로 국가전체 평균 3.36(2017년)대비 1.3배다. 양적인 성과로는 최근 5년간(2014~2018년) 국내외 SCI 논문 게재건수가 13,452건으로 9% 정도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인다.
기술적 성과로는 2018년도 국내 등록특허 성과의 질적수준을 든다. 특허분석평가시스템인 SMART를 통한 평가 결과, A등급 이상 특허보유 비중은 3.8%로 전체 국가R&D 대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도 국가R&D 전체 SMART A등급 이상 특허 비율은 2.6% 다. 양적인 면으로는 최근 5년간(2014~2018년) 국내특허등록 건수가 3,207건, 연평균 증가율 15.9% 의 수치를 보인다.
경제적 성과로는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제품개발 지원을 통해 발생된 해외 기술이전 및 시장출시를 들 수 있다. 최근 5년(2014~2018년)간 총 33건의 의약품 해외기술이전 계약이 체결됐으며, 이로인해 최대 약 10.3조 원 규모의 경제적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기간 복지부의 보건의료 R&D 누적 총지원액(2조 4.5천억원)의 4.2배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인프라 성과로는 임상시험 규모가 세계 상위권으로 성장한 것을 든다. 2007년 기준으로 국가기준 19위, 도시기준 12위 였으나, 2018년에는 국가기준 7위, 도시기준 1위를 나타내 글로벌 역량을 갖춘 임상시험 인프라가 갖추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보건의료R&D 우수성과 정의 및 선정절차
진흥원은 보건의료 R&D 연구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보건의료 R&D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키 위해, 매년 「보건의료 R&D 우수성과」를 선정하여 사례집을 발간하고 있다. 2019년 경우 2014~2017년 종료과제와 2018년 신규·계속과제에서 당해연도 성과를 대상으로 과제 우수성을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기초-응용-개발의 연구개발단계 전주기에 걸쳐 논문, 특허, 기술이전 등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바탕으로 평가하여 선정한다.
선정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수성과 발굴 프로세스에 따라 정성적+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여 성과의 우수성을 검토하고 최종 선정한다. ▲(1단계: 평가대상 선정 및 검증) 당해 연도 성과 검증 후 평가 대상과제 선정하며, ▲(2단계: 내부사전검토) 평가기준에 따라 제시된 해당 성과의 우수성 검토한다. ▲(3단계: 외부전문가 검토) 외부전문가가 정량적 평가결과 및 각 연구기관에서 작성한 우수성과 소개서를 검토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선정한다. ▲(4단계: 우수성과 최종 선정) 내외부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우수성과를 선정한다.
보건의료R&D 우수성과 선정 의미 및 향후 계획
이번 사례집 출간을 담당한 진흥원 김현철 단장은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사례집은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R&D의 우수성과를 엄선하여 정확한 사실에 근거하여 성과의 의미를 국민에게 전달함으로써 연구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2015년부터 발간하여 왔다"며, "향후에는 단순홍보가 아닌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로 바르게 알릴 수 있도록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사례집을 새롭게 개편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바이오타임즈=심선식 기자] macsim18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