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30 05:35 (화)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신규 이중항체 및 ABL105 포스터 발표
에이비엘바이오, AACR서 신규 이중항체 및 ABL105 포스터 발표
  • 김수진 기자
  • 승인 2024.04.11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BL112·ABL407, 면역 세포 특이적 항원 표적…비임상에서 강력한 항암 효과 확인
ABL105 역시 우수한 비임상 데이터 소개하며 발표 마무리
에이비엘바이오가 AACR에서 신규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ABL112 및 ABL407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성황리 마무리했다(사진=에이비엘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가 AACR에서 신규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ABL112 및 ABL407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성황리 마무리했다(사진=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타임즈]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지난 4월 5일부터 10일(현지 시각) 개최된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2024에서 신규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112 및 ABL407의 포스터 발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파트너사 유한양행이 발표한 HER2 표적 이중항체 ABL105(YH32367) 포스터 역시 다수의 참가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이번에 발표된 이중항체 3종은 모두 ‘그랩바디-T(Grabody-T)’ 플랫폼이 적용된 면역항암 파이프라인이다. 그랩바디-T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4-1BB 기반 이중항체 플랫폼으로, 종양미세환경에서만 T 세포를 활성화해 4-1BB 단일항체 고유의 간 독성 부작용은 줄이고, 항암 효과는 높이도록 설계됐다. 그랩바디-T가 적용된 대표적인 파이프라인으로는 ABL503, ABL111, ABL105, ABL103 등이 있다.

ABL112 및 ABL407은 기존 그랩바디-T 기반 이중항체들과 달리 종양 항원이 아닌 암세포 주변에 밀집한 면역 세포 특이적 항원을 표적하고 있어 그랩바디-T의 적용 영역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재 비임상 단계로, 이번 AACR에서 처음 공개됐다.

ABL112는 T 세포의 면역관문 중 하나인 TIGIT(T cell Immunoreceptor with Ig and ITIM domains)과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다. 포스터에 따르면, ABL112는 종양 내 면역억제 조절 T 세포(Intra-tumoral Treg)의 특이적 고갈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ABL112와 PD-(L)1 치료제 병용요법의 경우, TIGIT 단일항체 또는 PD-(L)1 치료제 단독요법 대비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실험체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L407은 LILRB4(Leukocyte Immunoglobulin Like Receptor B4) 및 4-1BB를 동시에 표적함으로써 LILRB4의 신호 전달을 억제하고, 4-1BB에 의한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비임상 실험 결과, ABL407은 T 세포의 활성을 회복시키고, 종양 내 면역억제 조절 T 세포와 단핵구성 골수 유래 면역억제세포(M-MDSC)의 감소를 유도해 종양 전이모델에서 탁월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에이비엘바이오가 소개한 ABL112와 ABL407은 물론, 파트너사인 유한양행이 발표한 ABL105와 PD-1 치료제 병용요법 등에 대한 포스터 역시 많은 관심과 질문을 받았다. 그랩바디-T 플랫폼이 글로벌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는 것”이라며, “올 상반기에는 ABL503이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하며, ABL105는 임상 1상 용량 증량 시험의 환자 모집을 마칠 예정이다. ABL105는 현재 진행 중인 한국 및 호주 임상 외 미국 임상까지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 외 ABL202와 ABL001 등도 임상 결과 발표를 앞둔 것으로 알고 있다. ABL103의 임상 1상도 순항하고 있는 만큼, 향후 에이비엘바이오의 앞날에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Grabody)’를 포함해 우수한 항체 기술을 기반으로 퇴행성 뇌질환 및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ABL001(VEGFxDLL4), ABL111(Claudin18.2x4-1BB), ABL503(PD-L1x4-1BB), ABL105(HER2x4-1BB), ABL202(ROR1 ADC), ABL301(a-synxIGF1R), ABL103(B7-H4x4-1BB) 등 7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프로젝트가 미국, 중국, 호주 및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적응증을 달리해 15개 이상 진행되고 있으며, ABL104(EGFRx4-1BB) 등의 파이프라인 역시 임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여러 비임상 파이프라인을 지속 연구개발 중이다.

[바이오타임즈=김수진 기자] sjkimcap@biotimes.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