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23:45 (토)
접착제 없이 피부에 붙이는 전자 패치로 심근경색·부정맥 초기에 잡는다
접착제 없이 피부에 붙이는 전자 패치로 심근경색·부정맥 초기에 잡는다
  • 최진주 기자
  • 승인 2022.04.18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준연-성균관대, 피부에 부착해 심전도‧체온 실시간 측정하는 전자 패치 개발
심전도, 체온 등 생체신호를 24시간 상시 모니터링하는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 등에 활용
피부에 부착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의료용 실리콘 전자패치 기술이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학술지 표지논문(back cover)으로 선정됐다(사진=한국표준과학)
피부에 부착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의료용 실리콘 전자패치 기술이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학술지 표지논문(back cover)으로 선정됐다(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바이오타임즈] 화학 접착제 없이도 피부에 붙이는 전자 패치로 심전도, 체온 등 생체신호를 24시간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과 성균관대학교(총장 신동렬)는 피부에 부착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의료용 실리콘 전자패치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심근경색, 협심증, 부정맥 등의 심혈관질환은 전조증상을 환자가 인지하지 못해 치료의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아, 웨어러블 기기 등을 이용해 생체신호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구 고령화와 심혈관질환의 증가, 비대면 원격의료 확대로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는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기존의 전자 패치는 신체를 움직이거나 피부에 땀과 유분이 발생하면 접착력이 급격히 떨어져 상시 착용이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화학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가려움증,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생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전도성 소재를 사용하나 화학적‧열적 내구성이 약해 전기적 성능이 쉽게 저하된다.

공동연구팀은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물속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는 물방개 앞발의 미세구조를 모방해 운동이나 샤워 중에도 떨어지지 않을 만큼 피부 접착력이 뛰어난 전자 패치 소재를 개발했다.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실리콘으로 제작됐으며 통기성과 배수성이 우수해 장시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탄소나노섬유 소재의 신축성 전극은 피부가 접히거나 늘어나도 전기전도성을 잘 유지한다. 기존 전자 패치 전극의 약한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전도성 소재인 탄소나노섬유를 실리콘 표면에 뿌리박는 새로운 구조를 고안했다. 신체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도 패치와 전극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신축성, 전도성,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공동연구팀은 이렇게 개발된 패치 소재와 신축성 전극, 온도센서를 결합해 웨어러블 패치를 구현했다. 성능 시연 결과 운동 후 피부에 땀이 흐른 상태에서도 접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심전도와 체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했다.
 

공동연구팀이 실리콘 전자패치의 피부 부착을 시연하고 있다(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이 실리콘 전자패치의 피부 부착을 시연하고 있다(사진=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번 기술의 핵심성과는 화학 접착제 없이도 피부 접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전자 패치와 탄소나노섬유 기반의 신축성 전극이다. 심전도, 체온 등 생체신호를 24시간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 제품 대비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도 유리하다.

KRISS 김민석 역학표준그룹장은 “기존 의료용 전자 패치는 해외 제품이 전부로, 그마저도 성능 면에서 폭넓은 활용이 어려웠다”며 “이번 성과는 원격진료 및 진단에 기여할 수 있어 국내 웨어러블 의료기기 산업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균관대학교 방창현 교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심전도 외에도 맥박, 혈압, 호흡수, 체온 등 4대 생체 활성 징후 및 산소포화도를 실시간 측정해 종합 진단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RISS 주요 사업 및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F: 13.273)에 게재됐으며,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808) 표지(back cover) 논문으로 선정됐다.

[바이오타임즈=최진주 기자] news@biotime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