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타임즈]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노년층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다. 무릎 관절 내 염증으로 인해 연골이 손상되고, 관절과 관절 사이 마찰로 인해 통증이 유발된다. 초기에는 주사 치료나 운동 등으로 염증을 완화하고 통증을 줄이는 등 증상을 조절할 수 있고, 연골이 모두 닳은 말기에는 관절을 갈아 끼우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인공관절 치환술은 퇴행성 관절염의 대표적인 수술적 치료이지만, 아직은 부담을 느끼는 이가 많다. 본인의 관절을 보존할 수 없고 인공관절을 끼우게 되더라도 이 역시 수명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인공관절을 늦출 수 있는 재생 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이 가운데 보건복지부 지정 관절 전문병원인 서울 연세사랑병원은 최근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으로부터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 주사’를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다. 해당 치료는 환자의 엉덩이와 복부에서 채취한 지방조직을 분리해 추출한 기질혈관분획(SVF·재생성 치유세포)을 무릎 관절강(뼈와 뼈 틈새)에 주사하는 치료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 2∼3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의 무릎 관절 기능을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기술이라고 평가받았다. 무릎 관절염 1기는 통증을 느끼고 부기가 있으며 간혹 물이 차는 증상, 2기는 증상을 더욱 자주 느끼고 방사선 촬영에서도 관절 간격이 좁아진 것이 명확하게 확인된 상태, 3기와 4기는 만성이 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미국 스포츠 의학 학술지(AJSM)에 게재된 한 논문에 따르면 관절염을 앓는 환자를 12개월 동안 주사 치료한 결과 통증, 경직 상태, 신체 기능을 평가하는 점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 주사의 장점은 중간엽 줄기세포 확보가 용이하다는 데 있다. 무릎 골관절염 치료에 많이 사용되는 골수 흡인농축물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 중간엽줄기세포가 많을수록 성장인자를 많이 분비하여 연골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세사랑병원 첨단의료연구팀은 “60대 이상의 고령 환자들은 골수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확보하기 쉽지 않다. 20대는 골수줄기세포를 뽑으면 약 1,000개 중 1개가 중간엽 줄기세포이지만, 60대 이상은 약 10만 개 또는 100만 개당 1개에 불과하다고 알려져 있다”며 “반면 지방줄기세포는 10~15개당 1개꼴로 중간엽 줄기세포를 확보할 수 있어 골수줄기세포보다 훨씬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골수 상태가 좋은 않은 60대 이상의 고령 환자들에게 더 효과적이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중간엽 줄기세포가 많이 포함된 지방줄기세포를 관절염 치료에 사용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 주사를 이용한 관절강내 주사 시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전문 의료진을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지방 줄기세포를 채취, 세포 분리 및 세척 등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외부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우수한 시설 및 체계적인 시스템 역시 필수다.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첨단재생의료실시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는 연세사랑병원은 2008년 관절척추 특화병원 중에서 최초로 세포치료연구소를 자체 설립해 자가지방 줄기세포 관련 논문을 30여 편 발표한 바 있다. 또 지난해 8월 말 세포치료연구소를 약 230㎡ 규모의 첨단재생연구실로 신축, 세포 보관 탱크, 원심 분리기, 무균 클린벤치 등 핵심장비들이 모두 구비돼 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원장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을 위한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 관절강내 주사’가 신의료기술로 등재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무릎 관절 기능 개선을 돕고 인공관절 수술을 늦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세사랑병원은 2018년부터 '근골격계 질환에서의 자가 지방 줄기세포 치료술'에 대해 제한적 의료기술 승인을 받아 수년간 풍부한 임상경험을 쌓아오며 이번 신의료기술 등재를 받을 수 있었다. 이번 신의료기술 등재를 통해 환자들의 치료 비용 부담을 줄이고, 최근 논란이 된 줄기세포 주사치료의 과잉 진료 및 무분별한 치료 문제로 인한 환자들의 피해와 잘못된 인식도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바이오타임즈=정민아 기자] news@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