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타임즈] 좌골신경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압박받아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좌골신경통이라고 한다.
좌골신경은 궁둥뼈 신경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압박과 손상, 염증 등으로 관련 부위인 대퇴부, 발, 종아리 등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좌골신경과 관련된 통증의 경우 엉덩이에서부터 아래쪽의 대퇴부, 다리까지 통증이 이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발이나 발가락까지 통증이 뻗어 나가는 경우도 있다.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요추 4, 5번 신경과 천추 1~3번 신경이 모여 있는 좌골신경이 요추신경과 관련된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관 협착증이 원인이 되어 통증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상근 증후군과 같이 좌골 신경 주변 근육의 과도한 긴장, 근근막통증 증후군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좌골신경통이 발생하면 요통과 함께 엉치 부위나 대퇴부 뒤쪽의 통증이 느껴질 수 있으며 종아리, 발 등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통증과 화끈거리고 저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감각이 둔해지고 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증상은 종양, 좌골신경이 지나가는 근육 등의 구조물에 의해 좌골신경이 눌리거나 자체적인 손상 및 염증에 의해 발생한다.
질환의 개선을 돕기 위해 다양한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는데, 보존 치료만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에 신경차단술을 바탕으로도 개선해볼 수 있다. 신경 압박으로 인한 증상이 지속되지만 이를 방치하는 경우 하지의 감각 손실이나 근력 약화와 함께 근육 위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에 초기 대응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대전 서울삼성마취통증의학과의원 정일환 원장은 “환자에게 발생하는 증상을 면밀히 살펴 질환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밀한 검진을 바탕으로 의심 질환을 진단한 뒤 체계적인 치료를 바탕으로 관리해 주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바이오타임즈=최진주 기자] news@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