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타임즈] 손목은 피로가 쉽게 쌓일 수 있는 신체 부위로 통한다. PC를 다루는 사무직 직장인, 가사 노동에 매진하는 전업주부, 골프 및 테니스 등을 즐기는 스포츠 마니아, 기타 기술직 등 손목을 자주 사용함으로써 통증과 뻐근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만약 일상생활 속에서 수시로 손목 통증과 시큰거림이 느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수근관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 근골격계 질환이다. 수근관이란 손목 앞쪽 피부 조직 아래 손목을 이루는 뼈, 인대 등에 의해 형성된 작은 통로를 뜻한다. 해당 부위에 손으로 뻗어나가는 힘줄, 신경 등이 통과한다. 이 통로가 어떤 이유로 좁아지거나 압력이 증가할 경우 수근관 내 정중신경을 압박하는데 이를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시 손가락, 손바닥 등이 저리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또 손이 전체적으로 뻐근하고 부어 있는 증상을 경험한다. 심할 경우 엄지손가락 근육의 쇠약 및 위축이 생길 수 있다. 심지어 잠을 자는 도중 손이 저려 자주 깨어나기도 한다.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원인으로는 반복적이고 과도한 손목 사용을 꼽을 수 있다. 아울러 골절이나 탈구, 감염, 당뇨, 수근관 내 종양 등의 병력이 있을 경우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불어 50대 이상 중장년층이라면 퇴행성 변화에 의해 인대가 두꺼워져 손목터널증후군을 겪기도 한다.
문제는 많은 사람이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가볍게 여겨 파스, 소염제 등으로 자가 치유 노력만 경주한다는 점이다. 수시로 손목 통증을 경험하나 단순 염좌로 여겨 무리하게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만약 손목터널증후군 치료 타이밍을 놓친다면 만성화되어 치료가 어렵고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손목 통증이 지속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정형외과에 내원해 정밀 검사 및 맞춤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터널증후군 진단 방법으로 근전도(신경 전도) 검사를 꼽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상 부위를 명확하게 진단한 다음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 병변을 구체화한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신경차단술이나 신장분사 치료 및 보조기 등으로 정중신경 주위의 부종을 제거하고, 염증을 제압하여 저린감을 호전시킴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신경 손상이 진행되고, 손가락의 근력이 저하되거나 저린감이 심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치료를 서두르는 것이 좋다.
굿본정형외과재활의학과의원 을지로점 홍동환 원장은 “신경학적 증상이 진행된다면 신경이 손상되고 회복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가까운 근전도 검사가 가능한 재활의학과를 찾아 신경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한 치료를 빠르게 진행하여 신경이 완전히 손상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지혜로운 방법”이라고 전했다.
[바이오타임즈=최진주 기자] news@bi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