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8:35 (금)
한국 제약업계에 ‘찜’당한 새로운 먹거리 시장은?
한국 제약업계에 ‘찜’당한 새로운 먹거리 시장은?
  • 김수진 기자
  • 승인 2021.04.23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미와 중남미 진출의 교두보 멕시코, 연 평균 10% 이상의 성장률 기록
한국-멕시코 간 FTA 협정으로 국내 제약사의 시장진입 수월
멕시코 내 의약품 부족 심각, 공급선 다각화와 개방 기조 유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 멕시코 의약품 시장규모 연간 15조 원, 연평균 10% 이상 성장

[바이오타임즈] 멕시코 의약품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 국내 제약업계가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 멕시코를 주목하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멕시코의 의약품 시장은 연간 약 15조 원에 달하고 있으며, 연평균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멕시코 정부 주도의 의료보건 시스템에 대한 전 국민 접근성 확대 정책으로 인해 세계 제약산업계로부터 매력적인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발효로 오리지널 의약품 시장 독점기간이 기존 10년에서 5년으로 조정됨에 따라 제네릭 의약품 시장도 발전이 예상된다.

멕시코의 비만율은 전체 인구의 72%로, 심뇌혈관 질환과 당뇨병 등 각종 대사질환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높다.

여기에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도 체결돼 있어 국내 제약사의 시장진입도 비교적 수월한 편으로 평가된다.

KOTRA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멕시코 의약품 시장 매출의 83%는 처방의약품이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17%는 일반의약품(OTC)이 차지하고 있다. 처방의약품 중에서도 54%는 특허, 30%는 제네릭 의약품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 멕시코 정부, 의약품 수입요건 완화하고 공공 조달 확대

멕시코 제약시장은 향후 젊은 인구의 고령화 및 만성 질환 발생률 증가로 인해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보편적인 의료보장 확대를 지원하려는 정부방침 또한 의약품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멕시코 정부의 달라진 정책 기조가 국내 제약기업에 커다란 기회 요인이 될 전망이다.

멕시코 정부는 지난해 1월 의약품에 대한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자국 기업 위주의 시장 독점을 완화하기 위해 의약품 수입요건 완화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멕시코 정부는 오는 2024년까지 연간 6조 원 규모의 공공 조달을 국제입찰을 통해 매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이 멕시코를 비롯해 칠레, 페루, 콜롬비아 4개국으로 구성한 지역경제동맹체인 태평양동맹 준회원국으로 가입하면 멕시코 수출의약품은 10%의 일반관세가 적용되어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멕시코는 의약품 부족에 시달리고 있어 최근 한국에서 항암제 등을 공수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약 2년 전부터 의약품 부족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항암제 부족이 심각해 항암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으며, 소아암 환자 부모들의 시위도 잇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의약품 부족 문제는 멕시코 식약청(Cofepris)의 의약품 및 치료물질 관련 허가의 지연이 가장 큰 요인이다. 또 다른 요인은 현 정부가 의약품 관련 부패, 남용, 투기 등과 같은 부정행위 모니터링 등의 계획을 수립해 통제를 강화한 것이다.

향후 정부는 멕시코 내 부족한 공급을 채우기 위해 공급선을 다각화하고 개방하는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수젯의 멕시코 출시 제품(사진=한미약품)
로수젯의 멕시코 출시 제품(사진=한미약품)

◇ 항암제를 비롯 의약품 부족 심각, 국내 제약사 멕시코 진출 활발

이러한 기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제약사들도 2019년부터 멕시코 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식약처도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PIC/S)에 가입되어 있어 사전등록 없이 멕시코 수출이 가능하다.

한미약품은 지난 2019년 멕시코 제약사 실라네스와 ‘아모잘탄플러스’, ‘아모잘탄큐’ 2종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또 작년 7월에는 MSD를 통해 이상지질혈증 복합신약 ‘로수젯’의 멕시코 판매허가를 받고, 지난 3월 4일 현지에서 출시됐다. 로수젯은 국내에서 지난해 991억 원의 매출을 올려 국산 의약품 중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도 멕시코를 교두보로 중남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지난해 멕시코 의약 전문 기업스텐달(Stendhal)과 항혈전제 ‘실로스탄CR정’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 약은 유나이티드제약의 첫 번째 블록버스터 품목으로, 유나이티드제약은 스텐달에 5년간 165만 달러(약 20억 원) 규모의 실로스탄CR정을 공급한다.

대웅제약도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프라잔’(Fexuprazan)의 멕시코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기술료를 포함해 총 5,000만 달러(한화 약 582억 원) 규모로, 오는 2022년 하반기 발매가 목표다. 멕시코는 현재 역류성 식도염에 널리 쓰이는 PPI(proton pump inhibitors, PPIs)가 항궤양제 시장의 95%를 차지하고 있어,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제제인 펙수프라잔의 성공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보령제약은 지난 2014년과 2016년 멕시코에서 ‘카나브’(현지명 아라코)와 ‘카나브플러스’(현지명 디아라코)를 출시한 이후 2019년 고혈압 신약 복합제 ‘듀카브’를 발매했다. 듀카브는 보령제약이 자체 개발한 고혈압 치료제 카나브의 복용량과 용법을 개량한 ‘카나브패밀리’의 일종이며, 현지 제품명은 ‘아라코듀오’(ArahkorDuo)다. 이 제품이 멕시코 시장에서 본격 처방이 시작되는 것은 2016년 9월 보령제약이 멕시코 스텐달과 중남미 25개국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한 후 약 3년 만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국내 제약기업의 멕시코 진출을 지원한다(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국내 제약기업의 멕시코 진출을 지원한다(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제약바이오협회·코트라, 멕시코 의약품 공공 조달과 민간시장 투트랙 지원

이처럼 국내 제약사들의 멕시코 의약품 시장 진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KOTRA와 손잡고 멕시코 시장 진출 지원을 본격화한다. 공공 조달과 민간시장 투트랙으로 현지 진출에 속도를 내겠다는 복안이다.

협회는 코트라 멕시코시티의 후원으로 오는 4월 28일 오전 9시 ‘멕시코 의약품 시장 진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지난 4월 14일 코트라가 마련한 ‘멕시코 의약품 국제조달 기회 웨비나’의 후속 행사로, 멕시코 민간 제약시장 수요와 인허가 제도, 현지 진출 시 고려사항 등 멕시코 의약품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웨비나는 ▲멕시코 개요 및 시장특성(입센 일리안 아소프 박사) ▲멕시코 의약품 인허가 제도와 절차(멕시코 현지 인허가 전문가 MCR 로베르토 오리올 멘도자 제페다 마케팅&임상 제네럴 디렉터) ▲한국기업의 멕시코 제약시장 진출에서의 시사점 및 고려사항(멕시코 현지 진출 전문가 YG컨설팅 김희하 고문)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협회는 멕시코 진출에 대한 산업계의 수요를 파악, 멕시코 의약품 시장 진출단을 꾸리는 한편 코트라와의 협업을 통해 현지 전문가 자문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바이오타임즈=김수진 기자] sjkimcap@biotime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