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7:25 (토)
안전성평가연구소, 생활 플라스틱 안에서 검출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사체 유해성 파악
안전성평가연구소, 생활 플라스틱 안에서 검출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사체 유해성 파악
  • 강철현 기자
  • 승인 2020.08.04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기단계에 머물러있는 MEHP에 대한 독성 발견해
(출처: 안전성평가연구소)
안전성평가연구소 로고 (출처: 안전성평가연구소)

[바이오타임즈] 안전성평가연구소(KIT, 소장 송창우)는 생활환경 플라스틱 안에서 검출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들의 유해영향 원인물질을 파악해 유해 분류기준 마련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했다고 4일 밝혔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외부에서 들어와 내분비계 생리작용을 교란시키는 화합물이며 다양한 생체신호와 관련되어 정확한 유해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분비계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기 위한 장기간 노출을 통한 동물 실험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해 안전성평가연구소 생태독성연구그룹은 제브라피시를 활용하여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독성원인 물질을 발견하고 내분비계 상호 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아동용 장난감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DEHP(Di-ethylhexyl phtalate)의 대사산물인 MEHP(Mono-(2-ethylhexyl phthalate)를 대상으로, 21일 동안 제브라피시에 노출시켰다.

MEHP는 플라스틱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는 DEHP가 인체 및 환경에 노출 되었을 때 신진대사 및 환경에 의해 대사되는 가장 첫 번째 대사산물이면서, 인체 및 환경에 장기간 잔류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DEHP의 유해성은 널리 알려져 사용 규제 화학물질로 지정되었지만, DEHP의 주요 대사산물(생체 및 환경에서 물리적·화학적·생리적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 인 MEHP의 유해성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다.

제브라피시에서 MEHP의 유해성을 조사한 결과 MEHP는 제브라피시의 산란 감소·배란지연, 성호르몬 변화 등 생식기능 장애를 일으켰다. 또한 스트레스 반응 증가를 나타내는 코티졸 호르몬의 증가도 유발했다.

DEHP의 대사체인 MEHP 가 제브라피시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출처: 안전성평가연구소)
DEHP의 대사체인 MEHP 가 제브라피시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출처: 안전성평가연구소)

이번 연구는 플라스틱 가소제로 사용되는 DEHP의 주요 대사산물인 MEHP에 대한 유해성 평가를 진행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로 생활 화학제품 함유 유해물질이 체내에 흡수된 후 생성되는 대사산물에 대한 인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생활 화학제품 함유 유해화학물질이 인체 및 환경 생물에 미치는 만성영향 독성신호 체계를 작성할 예정이다.

안전성평가연구소 생태독성연구그룹의 박창범 박사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 내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글로벌 화학물질 관리 규제에 선제대응 할 수 있을 것” 이라며 “이번 연구는 환경독성분야에서 새로운 대체시험법 개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주관하는 “에코-엑스포좀 기반 화학물질 유해성 및 통합노출 예측 기술개발” 과제로 독성메커니즘을 활용한 환경만성독성 예측모델 개발을 위해 안전성평가연구소와 한국화학연구원의 융합연구로 진행되었다. 또한 올해 3월 환경독성분야 상위 10%이내 학술지 ‘Environmental Pollution’에 게재되었다.

[바이오타임즈=강철현 기자] kch@biotimes.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