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7:15 (토)
[코로나19 이후] 의료 산업의 신성장동력 발굴 위한 기회로 활용해야
[코로나19 이후] 의료 산업의 신성장동력 발굴 위한 기회로 활용해야
  • 염현주 기자
  • 승인 2020.04.29 1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복지부, 보건의료체계 변화 및 실행방안 고민 중
코로나19 피해 최소화 하기 위한 비대면 서비스 증가
원격의료와 디지털 치료 등 의료산업의 발전 계기 될 수도

[바이오타임즈] 지난 4월 28일 국내 첫 번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지 100일째를 맞았다. 이에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22일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대비를 위해 공공보건 의료체계를 지속해서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현재 코로나19 대응에 상당히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공공보건의료가 사회 안전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또 다른 팬데믹 준비하는 다양한 거버넌스 고민해야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은 지난 28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중앙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향후 보건의료체계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실행할 수 있을 지 등의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합리적인 방안을 통해 현재 가지고 있는 구조적 제한점을 완화할 수 있는지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의료이용 안전담보 대책을 마련할 것이고, 이로 인해 국민의 안전한 의료기관 이용과 코로나19 환자 치료대응 등 전반적인 의료체계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서는 코로나19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공공 의료기관을 늘리는 등 공적 의료체계를 확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연구센터 윤강재 센터장은 “공공 보건의료기관이 먼저 나서서 전염병에 대응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비용이나 효율이 아닌 사전예방 관점에서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팀 이경호 책임은 “향후 코로나19 유사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원정책과 관련해 기업과 협력해야 하는 부분은 면밀히 검토를 해야 한다”며, “또 다른 팬데믹에 대응할 다양한 거버넌스를 면밀히 고민해봐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원격의료 산업 확대 위한 규제 개혁 필요"


그렇다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의료산업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현재 금융,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산업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이는 헬스케어 산업에서도 예외 없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비대면 의료서비스는 ‘원격진료’다. 지난 2월 코로나19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격상되면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원격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29일 주최한 ‘코로나19가 바꿀 미래: 어떤 기술을 준비해야 하는가’ 온라인포럼에 따르면 헬스케어 산업에서는 병원에 가지 않고도 의사의 진단과 처방이 가능한 원격진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원격진료는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아도 통신망이 연결된 모니터 등 의료장비를 통해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미국을 비롯해 프랑스, 영국, 중국, 일본 등은 각 국가의 상황에 맞게 원격진료를 허용하고 있다.

원격진료는 코로나19 사태로 일시적으로 허용된 것일 뿐 현행법상 불법이다. 그러나 이를 경험한 의사와 환자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규제 때문에 성장에 발목이 잡혔던 원격의료 시장이 코로나19로 숨통을 튼 셈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원격진료 규제를 완화하고 신성장동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4차위) 윤성로 위원장은 “의료계 안팎으로 원격진료에 대한 논란이 오랫동안 있었지만 “경쟁국의 추진 현황을 감안하면 더는 미룰 수 없다”고 설명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원격의료 관련 규제를 개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디지털치료제, 3세대 치료제로서 기대


한국과학기술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예방∙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인공지능(AI)이 진단∙모니터링하는 디지털 전환으로의 가속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KISTEP은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중심 의료시스템의 단점과 글로벌 의료시스템 협력체계 취약성이 부각됐다”며, “공중보건체계의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예방의학에서는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가 1세대 합성의약품, 2세대 바이오의약품에 이어 3세대 치료제로써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질병을 예방∙관리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다. 주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법제상 의료기기이지만 기존 의약품과 유사한 효과를 보여 치료제로 분류된다. 디지털 치료제는 신약에 비해 개발속도와 비용면에서 효용성이 크다. 환자의 건강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면 개개인마다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개인이 입력한 건강데이터를 의료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코로나19의 자가격리 앱을 예로 들면 자가격리자는 앱으로 매일 증상을 확인하고 보건당국에 보고했다. 보건당국은 이 데이터를 방역에 활용한다. 일각에서는 “이런 방식이 디지털 치료의 보편화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오는 8월 데이터3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한국은 코로나19에 철저하게 대응하면서 원격진료, 드라이브 스루, 워크스루 등 비대면 의료서비스의 잠재력을 엿볼 수 있었다. 이와 맞물려 한국의 헬스케어 시장은 앞으로 급성장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출 것을 보인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송시영 교수는 “헬스케어 산업에서는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며,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의료서비스 전반에 걸쳐 신성장동력을 발굴하는 중요한 기회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오타임즈=염현주 기자] yhj@biotimes.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